페이지
내용
원문보기
p. 3
[특집 논문 : 조선시대 여행과 체험의 기록] 조선시대 한문 기행일기의 현황과 가치
p. 37
[특집 논문 : 조선시대 여행과 체험의 기록] 기해통신사 필담창화집에 나타난 徂徠學派 문인들의 견해 및 그 의의 - 『客館璀粲集』과 『信陽山人韓館倡和稿』를 중심으로
p. 71
[특집 논문 : 조선시대 여행과 체험의 기록] 일본 廣島縣 향토사료에 반영된 조선후기 통신사와 福山藩 文士의 문화교류 연구
p. 105
[일반 논문] 고려가요에 나타난 소문의 시적구현양상과 화자의 태도 - <쌍화점>·<정과정>을 중심으로 -
p. 129
[일반 논문] 延安李氏 息山宗宅 家傳 簡札帖 一考察 - 『傳家寶墨-春·夏·秋·冬』을 중심으로
p. 171
[일반 논문] 한국의 누정에 관한 한문학 유산의 DB 구축 방안 연구
p. 209
[일반 논문] 야류·오광대 ‘영노’의 정체에 대한 시론
p. 237
[일반 논문] 1920년대 개벽사의 ‘조선동화’ 전승과 동화화 양상
p. 267
[일반 논문] 이기영의 『고향』에 나타난 근대 공동체와 개인
p. 299
[일반 논문] 최인훈 문학의 ‘이언어적 말걸기’ 양상 연구 - 최인훈의 언어의식을 중심으로
p. 333
[일반 논문] 중국 조선족학교 檔案館 운영 실태 및 그 특징
p. 365
[일반 논문] 폐교를 활용한 문화예술 공간의 사회적 역할 연구 - 부산 ‘놀이마루’와 도쿄 ‘3331 아트 치요다’를 중심으로
p. 397
[서평] 로컬리티 역사서술의 모범 사례, 그러나……
p. 403
[휘보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