페이지
내용
원문보기
p.3
[논문] <훈민가>의 말하기 방식과 그 의의
p.31
[논문] 안경(安璥)의 『가해조천록(駕海朝天錄)』에 드러난 해양 이미저리(Imagery)
p.63
[논문] ‘조로문인’(早老文人) 비판과 정지용 시의 ‘말년성’- 1930년대 시단의 한 풍경에 대하여
p.93
[논문] 일제강점기의 시에 나타난 ‘촛불’의 상상력과 의식지향성 연구
p.125
[논문] 1965년 이후 김수영의 시적 대응 태도
p.151
한국영화에 재현된 [논문] 국제이주 여성의 ‘난민화’ 양상 연구- 영화 <파이란>, <미씽: 사라진 여자>, <해무>를 중심으로
p.177
[논문] 지식 생산과 전파․수용에 따른 지식 권력 연구 방법론
p.205
[논문] 임진전쟁 초기 청주지역 의병진의 성격과 활동 - 박춘무와 조강 의병진을 중심으로
p.245
[논문] 무라야마 지쥰(村山智順)의 조선 점복조사에 대한 비판적 고찰
p.273
[논문] ‘이순신장군’ 구비전승 설화의 성격과 민간의식
p.297
[논문] 1960년대 농촌 여가문화의 특성과 의미 - 대천일기를 사례로
p.335
[논문] 포토텔링 기법을 활용한 영주귀국 사할린 한인 K씨의 생애사적 내러티브 탐색
p.363
[논문] 한반도 통일에 대한 재일한인의 인식 - 통일운동과 활성화 방안을 중심으로
p.423
[논문] 플랫폼사회, 액체교양과 비주얼 글쓰기 - PBL 교양 글쓰기를 중심으로
p.431
[서평] 범패의 속살까지 파헤친 현장 연구- 윤소희, 『범패의 역사와 지역별 특징』(민속원, 2016)
p.439
[휘보]